본문 바로가기
건강

“초음파 정상이면 안심해도 될까?” 경동맥 외 다른 혈관검사 안내

by 시크호야 2025. 5. 16.

경동맥 초음파만으로 뇌졸중 위험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을까요?

경동맥 초음파 결과가 정상이면 마음이 놓이시죠.
하지만 "정상"이라는 말이 곧 모든 혈관이 건강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동맥 외에도 확인해야 할 주요 혈관들과 그 검사법,
그리고 실제로 검사를 놓쳐 큰일 날 뻔한 사례를 함께 살펴봅니다.

경동맥 외에도 위험한 부위는 많습니다

우리 몸의 주요 혈관 중에서도 뇌졸중, 심장마비, 갑작스러운 실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부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위 주요 검사 방법 관련 질환

관상동맥 심장CT, 심전도 협심증, 심근경색
대동맥 복부 초음파, CT 대동맥류, 박리증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촬영) 뇌동맥류, 뇌출혈
말초혈관 ABI, 혈관 초음파 말초동맥질환, 허혈

중요 포인트: 경동맥이 정상이어도 다른 부위에 병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관상동맥과 뇌혈관은 별도 확인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정상 소견이었지만… 뇌혈관 파열 3주 전의 경고

이정수 씨(62세)는 경동맥 초음파에서는 아무 이상이 없다는 소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평소 느끼던 눈 부심과 시야 흐림,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 증상은 지속되었고,
재검에서 실시한 뇌혈관 MRA에서 뇌동맥류가 발견되었습니다.

"경동맥이 멀쩡하니 안심했는데, 다른 곳에 문제가 있을 줄은 몰랐어요."

이처럼 혈관은 복합적인 시스템이며, 한 군데만 진단하고 끝내면 놓치는 경우가 생깁니다.

어떤 경우엔 추가 혈관검사가 꼭 필요할까?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경동맥 외 혈관도 함께 검진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크 항목 이유

가족 중 심근경색, 뇌출혈 경험자 유전적 혈관 질환 가능성 ↑
고혈압 10년 이상 병력 혈관벽 약화 진행 가능성 ↑
당뇨병 + 고지혈증 동시 보유 혈관 염증과 침전물 ↑
지속되는 편두통, 눈앞 번쩍임 뇌혈관 이상 가능성
운동 중 가슴 통증, 호흡 곤란 관상동맥 협착 의심

단순 건강검진으로 해결되지 않는 증상이 있다면,
추가 검사를 요청할 권리는 환자에게 있습니다.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지 헷갈릴 때는?

"경동맥 초음파는 받았는데, 그다음은 뭘 해야 할까요?"
→ 아래 표를 참고해 주된 증상에 따라 검사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권장 검사

가슴 통증, 두근거림 심장CT, 심전도
한쪽 팔다리 저림 말초혈관 초음파, ABI 검사
두통, 어지럼증, 기억력 저하 뇌혈관 MRA 또는 CT
배에 맥박 뛰는 덩어리 느낌 복부 대동맥 초음파

검사 순서는 의사와 상담하며 조절하되,
경동맥 초음파를 기점으로 한 단계씩 넓혀가는 방식이 안전합니다.

Q&A: 정상인데 뭔가 불안할 때 생기는 질문들

"정상인데 왜 자꾸 어지럽죠?"
뇌혈류는 정상이어도 귀, 평형기관 문제일 수 있어요. 추가 검사 권장됩니다.

"검사 결과에 이상 없는데도 가슴이 답답해요."
관상동맥 질환은 경동맥 초음파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초음파가 깨끗하면 뇌동맥류도 없나요?"
→ 아닙니다. 뇌동맥류는 MRI/MRA 같은 영상 촬영이 필요합니다.

결론: ‘정상’이 끝이 아니라, 다음 단계의 시작

경동맥 초음파는 강력한 예방 검사이지만, 전체 혈관 건강을 대표하진 않습니다.
정상 결과가 나왔다면 오히려 그 다음 단계로 무엇을 점검해야 하는지를 더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전체적인 혈관 안전망 구축을 위해선 부위별 검사 확대가 필수입니다.
특히 중장년층이라면 한 부위 검사만으로 안심하지 마세요.

 

 

“경동맥 두께 1mm 넘으면 위험하다?” 검사 결과 읽는 법

경동맥 초음파 수치,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검사를 받았는데 **‘내막 두께 1.1mm’, ‘경동맥 협착 45%’**란 수치를 보고 혼란스러우셨나요?이번 글에서는 경동맥 초음파 결과지를 정확히 읽는

blog.gold-queen.com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