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잇몸치료, 미루면 치아까지 잃습니다”

by 시크호야 2025. 7. 27.

😰 요즘 양치할 때 피 나세요? 잇몸이 붓고 이가 시린가요? 피나고 욱신거리는 잇몸, 더 이상 참지 마세요!

그렇다면 지금 필요한 건 단순한 스케일링이 아니라
‘잇몸치료’, 즉 치주질환 치료입니다.

많은 분들이 잇몸에서 피가 나도
“그냥 피곤해서 그런가…?” 하며 방치하시는데,
그게 바로 치아를 잃는 지름길이 됩니다.


🔎 잇몸치료란?

이미 생긴 염증과 손상을 치료해, 잇몸과 치아 뿌리를 지키는 치료 행위

잇몸치료는 단순한 스케일링이 아닌
잇몸 속 깊숙이 박힌 세균, 치석, 염증을 제거하고 조직을 회복시키는
의학적 치료 과정입니다.


🧠 왜 잇몸치료가 필요한가요?

🔥 잇몸병은 소리 없이 치아를 무너뜨립니다

진행 단계 증상

치은염 잇몸이 붓고 피가 남
경증 치주염 잇몸이 내려감, 이 시림
중등도 치주염 치석이 잇몸 속 뿌리까지 침투
고도 치주염 치아 흔들림, 통증, 발치 위험

😱 202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발표:
치주질환은 전체 외래 질병 1위,
성인의 40% 이상이 겪는 흔한 병입니다.


🛠️ 잇몸치료, 어떻게 진행될까요?

1. 치석 제거 (스케일링)

  • 잇몸 위쪽 치석 제거
  • 초기 환자에게 필요

2. 치근활택술 (SRP, Scaling and Root Planing)

  • 잇몸 ‘속’ 깊은 치석과 염증 조직 제거
  • 보통 2~4회 나눠서 부위별 치료

3. 치주 소파술/잇몸 수술

  • 증상이 심한 경우 진행
  • 잇몸을 절개해 염증 부위 제거
  • 치조골 손상이 동반되면 재생치료도 병행

💡 통증은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부분 마취로 조절 가능하며,
치료 후 시림·불편감은 일시적입니다.


💰 치료비는 얼마 정도일까?

치료명 보험 적용 시 (본인부담)

스케일링 약 1만 원 (연 1회)
SRP (치근활택술) 약 3만~8만 원
잇몸 수술 약 5만~15만 원 (부위·병원에 따라 차이)

정확한 진단명(치주염, 치은염)이 내려지면 보험 적용 가능
건강보험 적용되면 큰 부담 없이 치료 가능


📋 건강보험 적용 가이드 (2025년 기준)

💳 적용 대상

  • 19세 이상
  • 연 1회 스케일링 보험 적용 (생일 기준 아님. 연도 기준 1회)
  • 잇몸질환 진단 시 치근활택술, 소파술 등도 보험 적용

🔍 적용 받으려면?

  1. 치과 예약 시 **“보험 적용되는 스케일링 또는 잇몸치료 가능한가요?”**라고 문의
  2. 증상이 있으면 진단 코드 발급 후 보험 처리
  3. 치료 항목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준 고시 항목 따라 적용

📌 꼭 기억하세요:
증상 있어도 진단 없이 “미용 목적”으로만 받으면 비보험 처리될 수 있습니다.


🧴 치료 후 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1. 전동칫솔 + 치실 사용 습관화
  2. 양치 후 구강세정제(알코올 Free) 사용
  3. 치과 정기검진: 6개월~1년 간격
  4. 흡연·과도한 음주 자제 (잇몸 재생 방해)

“잇몸은 한 번 망가지면 원상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치료 후 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 연령대별 잇몸관리법

👧 10~20대

  • 대부분 염증 초기에 발견 가능
  • 스케일링 연 1회 + 치실 사용 습관화
  • 교정 중이면 잇몸 붓기 방치 금물

👩‍💼 30~40대

  • 직장 스트레스 + 흡연 + 수면 부족 → 염증 가속화
  • 정기 스케일링은 기본, 조기 잇몸 염증 시 즉시 치료

👨‍🦳 50대 이상

  • 치조골(치아 뼈) 약화 시작
  • 이미 치주염이 진행된 경우 많음
  • 치주낭 깊이 측정 + 필요 시 잇몸 수술 고려
  • 임플란트 전 잇몸건강 반드시 확보 필요


💬 실제 후기 ― 40대 남성 환자 이야기

“이가 흔들려서 치과 갔더니 치주염이라네요.
스케일링만 받으면 될 줄 알았는데, 이미 뿌리까지 염증이...
3회에 걸쳐 잇몸치료 받고 나니 입냄새도 없어지고 밥 먹는 게 너무 편해졌어요.”
― 박○○ (서울 마포구)


✅ 마무리 한 줄 요약

잇몸 치료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입니다.
잇몸이 무너지면 치아는 그냥 빠집니다.
연령대별 관리법을 실천하고,
1년에 한 번 이상 정기 진단을 꼭 받아보세요.


🔗 참고자료 및 공식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구강검진 안내

대한치주과학회 - 치주질환 정보

보건복지부 구강보건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