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부모님 휴대폰 요금, 이젠 월 5천 원? 정부가 만든 ‘효도 요금제’ 1탄

by 시크호야 2025. 7. 25.

8월 말부터 바뀌는 어르신 통신 지원 정책, 지금부터 꼼꼼히 준비하세요

“어머니 휴대폰 요금 이번 달도 3만 원 넘게 나왔더라.”
자녀 입장에서 너무 당연한 것처럼 지나치는 이 요금이, 혼자 사시는 어르신들에게는 매달 큰 부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바뀝니다.
2025년 8월 말부터 **정부와 통신사, 지자체, 우체국이 함께 만든 ‘어르신 알뜰요금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월 5천 원대 통신요금’, ‘가까운 우체국에서 간편 신청’, ‘2년간 지원’ 등
말 그대로 디지털 소외 없는 복지형 요금제의 새로운 기준이 시작되는 거죠.
이번 글은 그 시리즈 1탄으로, 정책의 배경, 참여 주체, 전체 구조를 소비자 시선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왜 지금, 왜 어르신 통신요금인가요?

2025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독거노인은 약 180만 명.
이 중 대부분은 디지털 소외계층이며, 기초연금 또는 차상위 소득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휴대폰은 필수입니다.

  • 병원 예약 문자 받기
  • 정부 긴급 안내 수신
  • 자녀·지인과의 연락

이 모든 것이 휴대폰 없이는 불가능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통신요금은 너무 복잡하고,
가입은 어렵고, 단말기도 비싸다 보니 ‘그냥 비싼 요금제에 머무르는 것’이 현실이었습니다.


정부-지자체-통신사-우체국, 전방위 협업이 만든 새 요금제

주체 역할 요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 설계 및 제도화 총괄
지방자치단체 어르신 선정, 신청 접수, 요금 지원 일부 부담
통신사 및 알뜰폰사 알뜰요금제 기획·제공, 단말기 할인 등 민간 참여
우체국 전국 창구를 통한 현장 신청 및 맞춤 설명 서비스 제공

이렇게 공공과 민간이 동시에 참여하는 융합형 정책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어르신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전달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준비되고 있습니다.


핵심은 ‘월 5천 원 요금제’, 혜택은 결코 작지 않다

  • 월 1만 원 상당 요금제를 지자체와 통신사가 나눠 부담
  • 어르신은 월 5천~6천 원만 내고 음성+데이터 요금제 이용 가능
  • QoS(속도제한) 기반 데이터도 제공되어 카톡, 예약문자 확인은 충분히 가능
  • 기본 통화 포함으로 전화 사용도 부담 없이

이 요금제는 단순히 저렴함을 넘어서, 어르신의 일상 소통을 디지털로 연계하는 복지 플랫폼 역할까지 하게 됩니다.


이렇게 활용될 수 있어요

  • 요양병원에 계신 부모님, 문자는 확인 못하시는데 전화는 꾸준히 받고 싶을 때
  • 기초연금 수급자인 홀몸 어르신이 매달 통신비에 허덕이실 때
  • 자녀와의 연락, 건강보험 고지 문자, 병원 예약 문자가 필요한 고령층

이 모든 상황에 실질적으로 대응 가능한 요금제이자 제도입니다.